이 책은 보건의료인을 육성하는 우리나라의 간호대학, 보건과학대학, 의과대학과 의생명과학대 학원의 학생이나 연구원들이 의료생명윤리를 쉽게 접근하도록 기획하여 공동 저술한 책입니다. 그러므로 이 저서의 출판 목적은 현실적인 문제를 기반으로 하는 “쉽게 간추린 의료생명윤리”(Problem-based easy and summarized medical bioethics)라는 교과서를 집필하는 데 있었습니다. 진료현장의 의료인, 바이오뱅크 직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임상시험 및 인간대상 연구의 실무자나 심사위원, 과학자는 이 책을 통해 생명윤리에 관한 새로운 식견을 터득하시길 바랍니다.
이 교과서를 통해서 바라는 의료생명윤리 교육의 학습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철학, 윤리, 법규를 토대로 생명윤리의 정의와 그 역사를 학습하여, 생명 존엄성을 이해한다(제1부 1장, 2장).
•질병 치료와 죽음의 현장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는 비첨과 칠드레스의 의료윤리 4원칙인자율성 존중, 악행금지, 선행, 정의의 원리를 숙지하고, 여러 가지 생명윤리 강령들을 학습한다(제1부 3장).
•생명과학기술(줄기세포, 유전자 치료 및 유전자 가위를 이용하는 배아 유전자 교정과 편집 등)의 발달로 등장하는 인공수정, 시험관 아기, 대리모의 윤리적 이슈를 바르게 설명할 수 있다(제2부 4장, 5장).
•정밀의료 연구에서 등장하는 유전 정보, 보건의료 빅데이터와 바이오뱅크의 역할을 이해하고, AI의사의 자율의료영상 판독, 사물인터넷과 건강산업 기술개발 등 제4차 산업혁명으로 출현하는 보건의료 신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검토한다. 나아가 환자의 내밀한 부분과 개인정보(Privacy)
보호에 관하여 학습하며,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성공을 위한 4대 지능개발과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한다(제2부 6장).
•뇌사·식물상태·장기이식의 윤리적인 쟁점을 이해하고, 존엄사와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법’을 잘 학습한다(제3부 7장, 8장).
•충분한 사전 설명에 입각한 환자의 사전 동의서(informed consent), IRB, 임상시험, 바이오뱅크의 수집과 분양과정을 바르게 학습하고, 생명윤리 및 안전을 위한 법률적 토대를 이해하며, 의료현장 및 실험연구실에서 의료의 윤리적·법적·사회적 함의(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issues)를 설명할 수 있다(제4부).
•최근 자주 대두되는 태움, 성폭력, 미투 운동과 의료진에 대한 병원폭력에 대처하고 환자안전을 지키는 방법을 학습하며, 행복한 사랑과 성의 윤리 및 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학습한다(제5부).
차례
01 생명과 인간의 이해
Chapter 01 윤리학: 철학·윤리·도덕·법·규범
Chapter 02 생명과 인간의 이해
Chapter 03 생명윤리와 의료윤리
02 생식, 유전자 교정,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기술
Chapter 04 생식기술·시험관 아기·줄기세포·대리모
Chapter 05 유전자 조작·교정과 생명윤리
Chapter 06 제4차 산업혁명과 생명의료윤리
03 죽음의 이해
Chapter 07 죽음의 이해, 뇌사, 식물상태, 장기이식
Chapter 08 호스피스·완화의료
Chapter 09 안락사와 연명의료
04 생명윤리 및 안전
Chapter 10 환자동의, 개인정보보호와 ELSI
Chapter 11 기관생명윤리위원회와 임상시험
Chapter 12 바이오뱅크 생명윤리
05 병원과 행복윤리
Chapter 13 의료인의 행복윤리
Chapter 14 사랑과 성의 윤리
Chapter 15 병원 불안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