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3부와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자들이 전략계획수립을 왜 그렇게 하는가? 어떻게 하는가? 그 다음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 제기를 통해 전략계획수립을 간호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1 부 간호와 새로운 경계: 전략계획수립에 대한 필요성
제 2 부 전략계획수립의 원리와 기초
제 3 부 설계자, 변화매개자, 의사소통자
본서의 제1, 2, 3부는 각각 별도로 공부할 수 있다. 하지만, 3가지를 함께 공부한다
면, 독자에게 오늘날 간호에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는 전략계획수립 과정을 어떻게 접목시키는지를 알려주는 본 교재의 목적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본서는 전략계획 수립의 구성개념을 설명하고, 간호에 적용되는 전략계획수립 과정에 대해 알려주며, 전략계획을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호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접근방식과 기법을 독자들에게 안내해 준다.
본서는 한 강좌로서, 리더십, 경영, 비즈니스 교육과정 혹은 자습서로 활용될 수 있다. 본서의 모든 장은 학습 목표로부터 시작되며, 자기 주도적 학습평가를 할 수 있다.
교육자들에 대한 강의 지침서는 Jones and Batlett 출판사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차 례
제1부 간호와 새로운 경계: 전략계획수립에 대한 필요성
제1장 간호에 왜 전략계획수립이 필요한가?-새 시대에 요구되는 간호전문직에 대한권한부여
제2장 보건의료 환경: 진화하는 간호의 본거지
제3장 간호가 속한 비즈니스 영역
제2부 전략계획수립의 원리와 기초
제4장 무엇이 전략계획수립인가?…
제5장 전략계획수립 도구
제6장 전략계획수립: 왜 전략계획수립이 보드(Board)만의 안건이 아닌가?
제7장 전략계획수립 과정의 3가지 주요 구성요건: 간호의 미래에 대한 비전
제3부 설계자, 변화매개자, 의사소통자
제8장 전략계획수립 이론에 대한 개요: 전략계획수립 설계자
제9장 변화이론에 대한 이해: 전략계획수립 변화매개자
제10장 전략계획 알리기
제11장 전략계획수립이 실패하는 8가지 함정(Pitfall)